오라클 데이타베이스 중에서 그나마 XE 버전이 제일 설치가 쉬운 것 같다. (다른 버전은 시험할 엄두도 못 내겠다..-_-+)

 그나마 제일 쉬운 것 설치하는 데도 진땀 다 뺐다.

원문 : http://www.oracle.com/technology/tech/linux/install/xe-on-kubuntu.html


1. 먼저 apt-get 저장소를 연다.

$ sudo gedit /etc/apt/sources.list

2. sources.list에 다음을 추가한다.

deb http://oss.oracle.com/debian unstable main non-free

3. 인증키를 얻고 오라클 XE를 설치한다.

$ wget http://oss.oracle.com/el4/RPM-GPG-KEY-oracle  -O- | sudo apt-key add -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oracle-xe

여기까진 쉽다. 만약에 설치 중에 스왑 파티션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오라클 XE는 최소 1G이상의 스왑 파티션을 요구한다. 나는 이것 때문에 포맷을 두 번이나 하고 우분투를 설치했다. -_-;;
 
  근데 원문 6번 글을 보면 스왑 파티션을 설정하는 방법이 나온다. 직접 해보지는 않았지만 원문 작성자도 별로 추천하지 않는단다. ㅡ.,ㅡ 그냥 포맷하고 반드시 수동으로 해서 스왑 파티션을 잡아준다. 1G라고 해서 1024이런 식으로 했다가는 또 다시 포맷해야하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 적당히 1200정도로 잡아줘야 이상 없다. 이것 때문에 두 번이나 다시 깔았다. ㅠ.ㅠ

4. 아무튼 스왑 파티션에 이상이 없으면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이 실행하여 root 로 로그인 한다.

$ su -

아마 패스워드를 입력하라고 할 것이다. 우분투를 처음 설치한 상황에서는 root의 비밀번호가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 설정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 sudo bash
# passwd

또는

$ sudo passwd

이 명령으로 root 계정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root로 로그인한다. root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고 그냥 하려면 아래와 같이 입력하고 그 상태에서 작업한다.

$ sudo bash

또는

$ sudo -i

5. 이제 root 권한 상태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etc/init.d/oracle-xe configure

그럼 아래와 같은 설정 화면이 나올 것이다.

Oracle Database 10g Express Edition Configuration
-------------------------------------------------
Specify the HTTP port that will be used for Oracle Application Express [8080]: Enter
Specify a port that will be used for the database listener [1521]: Enter

Specify a password to be used for database accounts. Note that the same
password will be used for SYS and SYSTEM. Oracle recommends the use of
different passwords for each database account. This can be done after
initial configuration: 비밀번호 입력

Confirm the password: 비밀번호 입력

Do you want Oracle Database 10g Express Edition to be started on boot (y/n) [y]: y

Starting Oracle Net Listener...Done
Configuring Database...Done
Starting Oracle Database 10g Express Edition Instance...Done    Installation Completed Successfully.
To access the Database Home Page go to "http://127.0.0.1:8080/apex"

6. 이제 설정이 끝났다. http://127.0.0.1:8080/apex 로 이동해서 Username은 "system", Password는 위에서 입력한 비밀번호로 로그인한다.

출처 : http://zodiac12k.egloos.com/954275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7.10 사용자 메뉴얼  (0) 2008.01.10
우분투(Ubuntu): sudo su  (0) 2008.01.08

우분투는 기본적으로 루트계정을 만들지 않고

$sudo apt-get ~~~

이런식으로 잠시만 루트권한을 행사합니다.
그러나 기존의 사용자들에게는 약간 불편해서 루트계정암호를 설정해주면됩니다.

$sudo passwd

하시면 루트패스워드를 입력하게됩니다.
입력하고 나시면

$su 로 루트진입이 가능하게됩니다.
-----------------------------------------------------------------------------

원래는,


sudo: 수퍼유저(root)의 권한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su: substitute user (사용자 아이디를 잠시 다른 아이디로 바꾼다)


gksudo, sudo : 자신의 password

gksu,  su       : 루트의 password

-----------------------------------------------------------------------------

"su" 와 "su - root" 는 분명히 차이가 있습니다.

root 로 로그인을 변경한다는 것에는 동일합니다.
"su - root" 대신 "su -" 만 사용하셔도 됩니다.

만약 su 를 통해서 root 로 로그인 한다고 가정하고..

그 냥 su 만 사용하실 경우에는 root 권한에 포함되어 있는 환경변수는 하나도 가져오지 않습니다. 즉 root 권한의 PATH나 기타 여러가지의 환경변수가 포함되지 않고 단지 로그인 계정만 바꾼다는 것이지요... 환경이 바뀌지 않는다는 걸 확인 할 수 있는 것은... su 명령만으로 로그인을 해 보시면 일반 사용자가 지금 위치해 있는 디렉토리에 그대로 있을겁니다. 즉 환경 변수는 제외하고, 권한만 바꾼거지요.

그리고 su - 의 경우 환경변수까지 다 가져옵니다. 위에서 했던 방법처럼 su - 하시고 로그인 해 보시면 기본 /root 디렉토리로 이동해 있을 겁니다. 환경변수를 가져온다는 말이겠지요.

물론 다른 사용자로의 전환도 마찬가지입니다. 일반 유저가 test1으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
su test1 를 하거나 su - test1을 사용합니다.
다른 것은... 환경 변수를 가져오냐 가져오지 않냐의 차이입니다

출처 : http://blog.naver.com/rekcuf/140013249544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7.10 사용자 메뉴얼  (0) 2008.01.10
우분투 7.10 에 오라클 XE 설치하기  (2) 2008.01.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