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hell port no 544
rlogin port no 513
rshell port no 514


어이없는게 rshell 세팅이 되어있지 않아도. 커버로스 아이디에 인증 (~/.k5login) 만 되어있으면
rsh 접속이 가능하다. 커버로스가 rsh 에 비해서 우선권이 있는듯 하다 (추측)

[root@xxx121 ~]# rsh xxxx8
klogind: User xxxxxxx@NAVER.COM is not authorized to login to account root.
Trying krb4 rlogin...
krb_sendauth failed: You have no tickets cached
trying normal rlogin (/usr/bin/rlogin)
Last login: Mon Jan 24 11:37:37 from xxxx12.hangame.com
[root@xxxx8 ~]#

* 커버로스 인증 아이디를 삭제후, rsh 만 설정했을때 나는 오류메시지와 접속화면이다.


* 참고로 rsh 세팅방법
1. ntsysv 에서 rsh, rlogin 서비스 open
또는 /etc/xinetd.d/rsh 와 rlogin 파일에서 disable = no 로 설정

2. /etc/hosts.equiv 에 rsh 접속을 할 클라이언트 호스트네임 설정 (/etc/hosts 와 같아야함)

3. /etc/init.d/xinetd restart

여기까지는 암호입력후 접속가능

암호없이 접속가능하게 설정하는 방법

4. ~/.rhosts 에 /etc/hosts.equiv 와 같은 접속할 클라이언트 호스트네임 적어줌

5. /etc/pam.d/rsh 와 rlogin 을 열어서 pam_securetty.so 에 해당되는 줄을 주석처리

<출처:http://kkanari.egloos.com/1837690>

[출처] klogin 과 rlogin|작성자 델팽이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급 Linux 커맨드 마스터 가이드  (0) 2009.06.23
Linux find 명령어 완전 정복 가이드  (0) 2009.06.18
linux 파티션 나누기  (0) 2009.05.08
Cron  (0) 2008.11.24
USB 휴대용 저장 장치 마운트  (0) 2008.09.08

[출처] http://ask.nate.com/qna/view.html?n=5644131


파티션을 나누기 위해서는 fdisk 명령어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1. 파티션 확인

 

    1)fdisk -l /dev/hda  

       -> /dev/hda 의 파티션 내용을 확인한다.생략하면 모든 하드드라이브의 파티션을 보여준다.

 

[root@linux root]#fdisk -l

 

 Disk /dev/hda: 80.0 GB, 80060424192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9733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hda1     * 1            3824         30716248+     7    HPFS/NTFS
 /dev/hda2            3825   5099         10241437+   83     Linux
 /dev/hda3            5100   5230         1052257+    82     Linux swap
 /dev/hda4            5231   9733         36170347+    5     Extended
 /dev/hda5            5231   7055         14659281     fd     Linux raid autodetect
 /dev/hda6            7056   8880         14659281     fd     Linux raid autodetect
 /dev/hda7            8881   9003         987966       83     Linux

 

 2.  파티션 활용

 

 1)fdisk 실행

 

 [root@linux root]#fdisk /dev/hda  -> /dev/hda 파티션을 설정하기위해 실행

  The number of cylinders for this disk is set to 9733.
  There is nothing wrong with that, but this is larger than 1024,
  and could in certain setups cause problems with: 
  1) software that runs at boot time (e.g., old versions of LILO)
  2) booting and partitioning software from other OSs
  (e.g., DOS FDISK, OS/2 FDISK)

  Command (m for help): p <-- 'p' 명령은 현재 파티션정보를 보여준다.('fdisk -l' 과 같음)  

 

  Disk /dev/hda: 80.0 GB, 80060424192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9733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hda1     * 1            3824         30716248+     7    HPFS/NTFS
 /dev/hda2            3825   5099         10241437+   83     Linux
 /dev/hda3            5100   5230         1052257+    82     Linux swap
 /dev/hda4            5231   9733         36170347+    5     Extended
 /dev/hda5            5231   7055         14659281     fd     Linux raid autodetect
 /dev/hda6            7056   8880         14659281     fd     Linux raid autodetect
 /dev/hda7            8881   9003         987966       83     Linux


 

 2)새 파티션 생성하기

 

  Command (m for help): n <-- 'n' 명령은 새파티션생성시 쓰인다.
  First cylinder (9004-9733, default 9004):  <-- 시작실린더지점지정 그냥[enter]하면 default값.
  Using default value 9004
  Last cylinder or +size or +sizeM or +sizeK (9004-9733, default 9733): +100m
   <-- 끝나는실린더지정 혹은 직접 사이즈 지정할수 있다.

 

  Command (m for help): p <-- 확인  

 

  Disk /dev/hda: 80.0 GB, 80060424192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9733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hda1     * 1            3824         30716248+     7    HPFS/NTFS
 /dev/hda2            3825   5099         10241437+   83     Linux
 /dev/hda3            5100   5230         1052257+    82     Linux swap
 /dev/hda4            5231   9733         36170347+    5     Extended
 /dev/hda5            5231   7055         14659281     fd     Linux raid autodetect
 /dev/hda6            7056   8880         14659281     fd     Linux raid autodetect
 /dev/hda7            8881   9003         987966       83     Linux

 /dev/hda8            9004   9016         104391       83     Linux

   새로 생성된 파티션

 

 3) 파티션 삭제

 

 Command (m for help): d <-- 'd'명령은 파티션을 삭제하는 명령.

 

 Command (m for help): p <-- 확인  

 

  Disk /dev/hda: 80.0 GB, 80060424192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9733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hda1     * 1            3824         30716248+     7    HPFS/NTFS
 /dev/hda2            3825   5099         10241437+   83     Linux
 /dev/hda3            5100   5230         1052257+    82     Linux swap
 /dev/hda4            5231   9733         36170347+    5     Extended
 /dev/hda5            5231   7055         14659281     fd     Linux raid autodetect
 /dev/hda6            7056   8880         14659281     fd     Linux raid autodetect
 /dev/hda7            8881   9003         987966       83     Linux

 

 4)파티션의 system`id 지정

 

Command (m for help): t <-- ' t ' 명령은 system`id지정하는 명령
Partition number (1-8): 8 <-- 파티션 선택 (8은 /dev/hda8)
Hex code (type L to list codes): L <-- ' L ' 명령은 system`id 의 LIST 를 보여준다.


0 Empty                    1c Hidden Win95 FA  70 DiskSecure Mult bb Boot Wizard hid
1 FAT12                    1e Hidden Win95 FA  75 PC/IX be Solaris boot
2 XENIX root              24 NEC DOS            80 Old Minix c1 DRDOS/sec (FAT-
3 XENIX usr               39 Plan 9                 81 Minix / old Lin c4 DRDOS/sec (FAT-
7 HPFS/NTFS            42 SFS                   85 Linux extended db CP/M / CTOS / .

                                               *

                                               *

                                               *

                                               *

                                               *
17 Hidden HPFS/NTF  63 GNU HURD or Sys ab Darwin boot fd Linux raid auto
18 AST SmartSleep     64 Novell Netware    b7 BSDI fs fe LANstep
1b Hidden Win95 FA    65 Novell Netware    b8 BSDI swap ff BBT


 

Hex code (type L to list codes): fd <-- 원하는 코드를 입력 (fd  는 raid 이다)
Changed system type of partition 8 to fd (Linux raid autodetect)

 

Command (m for help): p <-- 확인  

 

  Disk /dev/hda: 80.0 GB, 80060424192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9733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hda1     * 1            3824         30716248+     7    HPFS/NTFS
 /dev/hda2            3825   5099         10241437+   83     Linux
 /dev/hda3            5100   5230         1052257+    82     Linux swap
 /dev/hda4            5231   9733         36170347+    5     Extended
 /dev/hda5            5231   7055         14659281     fd     Linux raid autodetect
 /dev/hda6            7056   8880         14659281     fd     Linux raid autodetect
 /dev/hda7            8881   9003         987966       83     Linux
 /dev/hda8            9004   9016         104391        fd    Linux raid autodetect

                                                                      system`id 가 변경됨을 알수 있다.

 

 5) 파티션 저장 하고 나가기

 

   Command (m for help): w <--' w ' 명령은 작업한 파티션정보를 저장하고 나가는 명령

  The partition table has been altered!

  Calling ioctl() to re-read partition table.

  WARNING: Re-reading the partition table failed with error 16: 장치나 자원이 동작 중.
  The kernel still uses the old table.
  The new table will be used at the next reboot.
  Syncing disks.
  [root@mail root]#

   ※저장후 재부팅해야 인식한다.

 

 6) 파티션 저장안하고 나가기

  

   Command (m for help): q <--' q ' 명령은 작업한 파티션정보를 저장하지않고 나가는 명령

 

  [root@mail root]#

 

 7) 기타 fdisk 내부에서 명령어 확인

 

  Command (m for help): m <-- 'm' 명령은 명령어들에 대한 도움말을 출력한다.
  Command action
  a toggle a bootable flag
  b edit bsd disklabel
  c toggle the dos compatibility flag
  d delete a partition
  l list known partition types
  m print this menu
  n add a new partition
  o create a new empty DOS partition table
  p print the partition table
  q quit without saving changes
  s create a new empty Sun disklabel
  t  change a partition's system id
  u change display/entry units
  v verify the partition table
  w write table to disk and exit
  x extra functionality (experts only)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find 명령어 완전 정복 가이드  (0) 2009.06.18
klogin과 rlogin  (0) 2009.06.08
Cron  (0) 2008.11.24
USB 휴대용 저장 장치 마운트  (0) 2008.09.08
linux make law device(리눅스 raw device 생성)  (0) 2008.09.04

[Cron] Unix, Linux

 

주기적인 프로그램 수행 : cron 시설  [ 04/05/27 03:18 ]

cron주기적으로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유닉스 시설이다.

crontab 파일
보통 : /var/spool/cron/crontabs / FreeBSD : /var/cron/tabs, /etc/crontab
리눅스 : /var/spool/cron(레드햇) / /var/spool/cron/tabs(수세)
/etc/crontab(레드햇,수세)


crontab 형식
보통 : 시스템 V (사용자 필드가 없음)
BSD : /etc/crontab(사용자 이름이 6번째 필드여야 함)


cron.allow, cron.deny 파일
보통 : /var/adm/cron / FreeBSD : /var/cron
리눅스 : /etc(레드햇) , /var/spool/cron(수세)
솔라리스 : /etc/cron.d


관련기능
보통 : 없음 / FreeBSD : periodic 유틸리티
리눅스 : /etc/cron.*(houry, daily, weekly, monthly)
레드햇 : anacron 유틸리티


cron 로그 파일
보통 : /var/adm/cron/log / FreeBSD : /var/log/cron
리눅스 : /var/log/cron / 솔라리스 : /var/cron/log


crond의 pid 가 기록되어 있는 파일
보통 : 없음 / FreeBSD : /var/run/cron.pid
리눅스 : /var/run/crond.pid(레드햇), /var/run/cron.pid(수세)


cron을 시작하는 부팅 스크립트
FreeBSD : /etc/rc / HP-UX : /sbin/init.d/cron
리눅스 : /etc/init.d/cron / 솔라리스 :/etc/init.d/cron


부팅 스크립트 설정 파일 cron 관련 엔트리
FreeBSD : /etc/rc.conf / cron_enable="YES",cron_flags="args-to-cron"
HP-UX : /etc/rc.config.d/cron (CRON=1) / 리눅스 : 사용하지 않음
솔라리스 : /etc/default/cron (CRONLOG=yes)


 

crontab 파일

무엇을 실행하고 언제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파일, cron 스케줄.

*시스템 V 방식 에서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crontab 엔트리는 사용자마다 /var/spool/cron/crontabs/사용자명 디렉토리에 저장된다.
예) /var/spool/cron/crontabs/root

* BSD 방식은 전통적으로 /etc/crontab 파일 하나만 사용한다.
*FreeBSD,리눅스 시스템은 파일도 사용하고 디렉토리도 사용한다.

crontab 파일은 직접적인 편집보다 crontab 명령어를 이용하여 생성 수정한다.

crontab 파일의 엔트리
 
                |-----------------------------------------------|
                | 필드  |   표기되는 대상   |    사용가능한 값       |
                |-----------------------------------------------|
                | 필드1 |             분            |         0 - 59, *         |
                | 필드2 |            시간          |         0 - 23, *         |
                | 필드3 |             일            |         1 - 31, *         |
                | 필드4 |             월            |         1 - 12, *         |
                | 필드5 |            요일          | 0 - 6 (0=sunday), * |
                | 필드6 | 명령(행의 끝까지) |                             |
                |-----------------------------------------------|


minutes hours day-of-month weekday command
  
1.각필드는 공백으로 구분하고 요일후에는 모든것을 명령어로 취급하므로 공백이 포함될수 있다.
2.필드에는 단일 숫자, 숫자-숫자(범위) , 쉼표로 분리한 단일숫자 또는 범위 목록, 애스터리크 사용가능
3. 첫문자가 # 일경우 주석처리
4. 명령어에 퍼센트기호(%)가 있으면 기호 이후에 나타나는 텍스트를 표준 입력으로 사용한다. 이후에 나타나는 퍼센트 기호는 텍스트를 여러행으로 분리하는 데 사용한다.
  예) 30 11 31 12 * /usr/bin/wall%Hppy New Year!%Let's make it treat!
5. 요일과 날짜는 OR 처리된다고 생각할수 있다.
  예) * * 1 1 1 /usr/local/bin/test55 (1월1일 과 매 월요일에 실행된다)
<참고> BSD 시스템에서는 여섯 번째 필드는 명령어를 실행할 사용자 계정이고 요일도 달라서 월요일이 1이고 일요일이 7이다
  예) 0 3 * * 6-7 root /var/adm/weekend.sh


FreeBSD, 리눅스 crontab 엔트리 형식 향상점
1. 월과 요일은 처음 세글자로 줄여 지정가능 (예, mon, jan, feb....)
2. 일요일을 0과 7모두 사용 가능
3. 범위 목록을 동시에 사용가는 (예, 2,4,6-7) -> HP-UX에서도 가능함
4. /n 을 통해 주기를 지정할수 있다.
   (예) 시를 8-18/2 -> 8시부터18시까지 2시간마다
      분을 */5 5분마다
5. crontab 파일에서 본 셸 형식으로 환경 변수 정의 가능
   (예) MAILTO=kenauros
6. FreeBSD 시스템에서는 스케쥴 필드 대신 특수 문자열을 사용할수 있다
    @reboot
    @yearly    1월1일 자정
    @monthly 매달 1일 자정
    @weekly 매주 일요일 자정
    @daily 자정
    @hourly 매시간 0분


crontab 엔트리 추가 하기
$crontab mycron
/var/spool/cron/crontabs/유저명 에 mycron 파일 생성

$crontab -l
crontab 엔트리 보기

$crontab -r
crontab 엔트리 제거

$crontab -e
직접 crontab 파일을 변경

#crontab -e adm
루트가 adm 의 crontab 엔트리 변경
FreeBSD,리눅스 에서는 -u 를 통해 사용자를 지정가능
#crontab -e -u adm


cron 보안 문제

cron.allow 파일이 존재할경우 사용자 이름이 있어야만 crontab을 실행할수 있다
cron.allow 파일은 없지만 cron.deny가 있으면 cron.deny 에 없는 사람만 crontab

명령어를 사용할수 있다. cron.deny가 빈파일이면 아누나 cron 기능을 사용할수 있다.
두 파일 모두 없으면 루트만 하용할수 있다.(리눅스 , FreeBSD 에서는 두파일 모두 없으면

아무나 사용할수 있다.)

 

 

[Cron] Solaris, HP, AIX

 

[Solaris]
솔라리스에서는 crondtab -e하면 않되네요..
어떻게 해야 편집되요?

EDITOR=vi
export EDITOR

 

[HP]

$ crontab -e
crontab: you are not authorized to use cron.  Sorry.
$ crontab -l
crontab: you are not authorized to use cron.  Sorry.

 

#vi /var/adm/cron/cron.allow


# ps -ef | grep cron
    root  1132     1  0  Mar 31  ?         0:00 /usr/sbin/cron
    root 10570 10174  0 09:50:09 pts/tc    0:00 grep cron
#cd /sbin/init.d

# ./cron stop
cron stopped
# ps -ef | grep cron
    root 10579 10174  0 09:50:33 pts/tc    0:00 grep cron
# ./cron start
cron started
#

 

[AIX]

# more /etc/inittab

cron:23456789:respawn:/usr/sbin/cron

...

 

http://unix.co.kr/data/irix/?p=11

inittab: script for the init process
형식: id:level:action:process
기능: 
 id : 유일한 두개 또는 하나의 문자.
 level: (0~6, s, S)
level이 빈란이면 action은 모든 level들에대하여 가능.
 action :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 는지를 알고있는 스크립를 실행.
action의 종류는
sysinit int가 시스템 콘솔을 다루기를 시도하기전에 수행해야할 활동을 해라.
respawn 프로세스를 시작하고, 이것이 죽으면 자동으로 재 시작해라.
wait 프로세스를 시작하고, 이 실행 상태를 위한 다음 에트리로 가기 전에 , 끝날때까지 기다려라.
boot  단지 부팅시에만 에트리를 시작한다.
powerfail init가  power fail 신호를 받았을때 실행 해라.
bootwait 이것은 시스템이 부팅된후 single-user에서 multi-user 상태로 갈때 실행된다.
off 이것은 무시해라.
initdefault 디폴트 실행 단계를 지정해라. 일반적으로 2혹은 3으로 정해라.
once 이미 실행하고 있지않으면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bcheckrc root file system을 준비한다.
brc /etc/fstab을 체크해서 모든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시켜라.
rc0 shutdown level script
rc2 multiuser level script
uadmin 시스템 종료를 초기화하는 명령어.
 process :This is a sh command to be executed. 
예;
is:2:initdefault:
fs::sysinit:/etc/bcheckrc </dev/console >/dev/console 2>&1 
mt::sysinit:/etc/brc </dev/console >/dev/console 2>&1 
link::wait:/etc/lnsyscon > /dev/console 2>&1 < /dev/null 
s0:06s:wait:/etc/rc0 >/dev/console 2>&1 </dev/console 
s1:1:wait:/etc/shutdown -y -iS -g0 >/dev/console 2>&1 </dev/console 
s2:23:wait:/etc/rc2 >/dev/console 2>&1 </dev/console 
s3:3:wait:/etc/rc3 >/dev/console 2>&1 </dev/console 
s4:06:wait:/etc/umountfs > /dev/console 2>&1 
of:0:wait:/etc/uadmin 2 0 >/dev/console 2>&1 </dev/console 
RB:6:wait:/etc/init.d/announce restart 
rb:6:wait:/etc/uadmin 2 1 >/dev/console 2>&1 </dev/console 


# on-board ports or on Challenge/Onyx MP machines, first IO4 board ports 
t1:23:respawn:/sbin/getty ttyd1 co_9600         # alt console 
t2:23:off:/sbin/getty -N ttyd2 co_9600          # port 2 
t3:23:off:/sbin/getty -N ttyd3 co_9600          # port 3 
t4:23:off:/sbin/getty -N ttyd4 co_9600          # port 4 
 

option:
 
 SEE ALSO 
     getty(1M), init(1M), sh(1), who(1), exec(2), open(2), signal(2). 
 

 

변경 ..

cron:23456789:wait:/usr/sbin/cron

 

재부팅 후..

#ps -ef | grep cron

#kill -9 ??

#/usr/sbin/cron start &

 

 

stopsrc [-h host] [-f | -c] -s subsystem_name

startsrc [-h host] [-e environment] [-a argument] -s subsystem_name

#stopsrc -s sendmail


 

 

[Cron][Log] SecureOS & Cron_Shellscript

 

SecureOS & Shellscript
#vi shellscript.pl

#/bin/bash
chmod 777 /root/testdir/testfile
cat /root/testdir/testfile

#./shellscript.pl
번호 서버 시간 접속IP목적IP 사용자 프로세스 대상 접근형태 대응방법 롤 인증서비스 터미널 시스템콜 
1 WOW7.3 08-11 01:18 192.168.22.1   (102 : root : 0) chmod (3610,47421) /root/testdir ACTL : W DENY Test_shellscript    chmod 
2 WOW7.3 08-11 01:18 192.168.22.1   (102 : root : 0) cat (3611,47459) /root/testdir ACTL : R DENY Test_shellscript  pts/1 open 
----------------------------------------------------------------------------------------

SecureOS & Cron

crontab -e 명령어를 통해서 예약작업을 설정하면..
/var/spool/cron/사용자명 파일로 저장됩니다.

$ crontab -l
1,3,5,7,9,11,13,15,17,19,21,23,25,27,29,31,33,35,37,39,41,43,45,47,49,51,53,55,57,59 * * * * cat /root/testdir/procfile
# crontab -l
1,3,5,7,9,11,13,15,17,19,21,23,25,27,29,31,33,35,37,39,41,43,45,47,49,51,53,55,57,59 * * * * cat /root/testdir/testfile

번호 서버 시간 접속IP목적IP 사용자 프로세스 대상 접근형태 대응방법 롤 인증서비스 터미널 시스템콜 
1 WOW7.3  08-11 01:41 0.0.0.0   (-1 : a : 102)         cat (1382,47459) /root/testdir ACTL : R ACPT Test_shellscript  notty open 
2 WOW7.3  08-11 01:41 0.0.0.0   (-1 : root : 0) cat (1381,47459) /root/testdir ACTL : R ACPT Test_shellscript  notty open 
----------------------------------------------------------------------------------------

SecureOS & Cron+Shellscript

# crontab -l
1,3,5,7,9,11,13,15,17,19,21,23,25,27,29,31,33,35,37,39,41,43,45,47,49,51,53,55,57,59 * * * * /root/HZ_Test/shellscript.pl

번호 서버 시간 접속IP목적IP 사용자 프로세스 대상 접근형태 대응방법 롤 인증서비스 터미널 시스템콜 
1 WOW7.3  08-11 01:53 0.0.0.0   (-1 : root : 0) chmod (1309,47421) /root/testdir ACTL : W ACPT Test_shellscript  notty chmod 
2 WOW7.3  08-11 01:53 0.0.0.0   (-1 : root : 0) cat (1310,47459) /root/testdir ACTL : R ACPT Test_shellscript  notty open 

 

 

목적 :

Cron을 사용하면서 luid=-1값을 가지고 cp, sh 등의 프로세스를 가지고 /var/adm에 접근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모색해 본다.

 

테스트 환경 :

Linux, Solaris, HP, AIX에 대해 테스트 하였습니다.

 

테스트 내용 :

시스템이 부팅된 후 Cron을 설정하면 다음과 같이 luid=-1 이 나옵니다.

17 03-22 09:35 155 0.0.0.0   (-1 : root : 0) abc.sh (8606,313631) /opt/XXXXX ACTL : X DENY .XXXXX tty/255   
18 03-22 09:35 155 0.0.0.0   (-1 : jhlee : 100) user.sh (8612,313631) /opt/XXXXX ACTL : X DENY .XXXXX tty/255 

 

root의 사용자로 로긴한 후 root 사용자가 Cron을 재시작하면 다음과 같이 luid=0 이 나옵니다.

19 03-22 09:38 155 0.0.0.0   (0 : root : 0) abc.sh (8652,313631) /opt/XXXXX ACTL : X DENY .XXXXX tty/255   
20 03-22 09:38 155 0.0.0.0   (0 : jhlee : 100) user.sh (8657,313631) /opt/XXXXX ACTL : X DENY .XXXXX tty/255 

 

(단 AIX만이 프로세스 명이 abc.sh이라고 나오지 않고 sh로 나왔습니다.)

 

결론 :

Cron을 사용하게 되면서 /var/adm 의 디렉토리에 cp, sh .. 등의 프로세스를 설정해 주어야 했는데..

Cron을 root가 재시작하고 정책에 관리자로서 root를 포함하여 위의 문제를 우회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출처] Cron|작성자 maniacat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klogin과 rlogin  (0) 2009.06.08
linux 파티션 나누기  (0) 2009.05.08
USB 휴대용 저장 장치 마운트  (0) 2008.09.08
linux make law device(리눅스 raw device 생성)  (0) 2008.09.04
dpkg와 apt 사용하기  (0) 2008.01.08

USB 휴대용 저장 장치 마운트

1. 첫 번째 방법
# insmod ide-scsi 명령을 수행한 후 mnt 디렉토리 내에 usb-drive 폴더를 만들고, USB가 연결 되어 있는 상태에서 # mount -t vfat /dev/sda1 /mnt/usb-drive 명령을 실행합니다.
차후에는 # mount -t vfat /dev/sda1 /mnt/usb-drive 명령만 실행하면 됩니다.

2. 두 번째 방법
부팅시에 자동으로 USB 메모리를 마운트 하기위해 /mnt/usb 라는 폴더를 생성하고, /etc/fstab에 다음과 같이 넣습니다.
/dev/sda1   /mnt/usb    auto   noauto,iocharset=cp949,user 0 0
USB 메모리를 꼽을때 자동으로 인식시키도록 하기 위해 /etc/hotplug/usb/usb-storage 파일을 만들고 다음을 입력하고 # chmod 755 usb-storage 명령을 실행합니다.
--------------------------------------------------------------------
#!/bin/sh
#
# /etc/fstab 설정에 따라 /mnt/usb에 마운트
mount /mnt/usb
--------------------------------------------------------------------
USB 메모리 저장장치를 다시 마운트 하기 위해서는 mnt 디렉토리 내에서 # mount /dev/sda1 명령을 수행하고, 언마운트하기 위해서 # umount /dev/sda1 명령을 수행해야 하며, 수정된 내용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반듯이 언마운트 시켜야 합니다.

[mntent]: warning: no final newline at the end of /etc/fstab 라는 에러메시지가 나올때는 fstab 문서의 제일 하단줄에 엔터라인(공백)을 추가해 주어야 합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파티션 나누기  (0) 2009.05.08
Cron  (0) 2008.11.24
linux make law device(리눅스 raw device 생성)  (0) 2008.09.04
dpkg와 apt 사용하기  (0) 2008.01.08
apt-get 명령어  (0) 2008.01.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