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메뉴얼이 없어서 고생하였던 분들...

나 역시 많은 사이트를 돌아다녀 보았지만 7.10 버젼의 메뉴얼은 도통 찾을 수가 없더라..

이곳 저곳을 헤메다가 우연히 Mike Sierra 님의 사이트를 방문하게 되었는데

현재 메뉴얼을 집필중이서더라는 ^0^

아직 완성본이 아니라서 배포를 금지하기시에 링크만 살짝 ㅋ

많은 참고 되시길...

우분투 7.10 메뉴얼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7.10 에 오라클 XE 설치하기  (2) 2008.01.08
우분투(Ubuntu): sudo su  (0) 2008.01.08
rpm 다음으로 리눅스 배포판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패키지 관리자는 dpkg 로  .deb 패키지를 관리할때 사용한다. 이름이 얘기해주듯 .deb 포맷은 데비안 배포판에서 나온 것이다. 물론 다른 배포판에서도 사용한다. rpm 포맷처럼 .deb 포맷도 시스템이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의존성과 파일정보를 유지한다.

dpkg 는 데비안 패키지 관리자의 저수준 인터페이스로 대부분의 기능은 apt 통합 프로그램 또는 dselect, aptitude, gnome-apt, synaptic, kpackage 와 같은 프론트엔드를 통해 처리한다.

데비안 시스템에 .deb 패키지는 다음과 같이 설치한다. 예를 들어 superfrob_4-1_i386.deb 라는 이름의 패키지가 있다면 다음과 같이 설치한다.

dpkg -i superfrob_4-1_i386.deb

rpm 과 달리 dpkg 는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하는 것과 기존의 패키지를 업그레이드 하는 것을 구분하지 않는다. 둘다 -i 옵션을  사용한다.


패 키지를 언인스톨하려면 -r(--remove) 또는 -P(--purge) 옵션을 사용한다. -r 옵션은 패키지를 제가하긴 하지만 설정 파일은 남겨둔다. 반면에 -P 는 시스템 전반의 설정 파일도 함께 제거한다. 예를 들어 superfrob 을 완전히 제거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dpkg -P superfrob


dpkg 에서 -l(--list) 옵션을 사용하여 시스템에 어떤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yoda@yoda-desktop:~$dpkg -l

희망상태=알수없음(u)/설치(i)/지우기(r)/깨끗이(p)/고정(h)
| 상태=설치안됨(n)/설치됨(i)/설정(c)/풀림(u)/설정실패(f)/일부설치(h)
|/ 오류?=(없음)/고정(h)/다시설치필요(r)/둘-다(x) (상태, 오류가 대문자=불량)
||/ 이름                                 버전                                설

+++-======================================-=====================================-============================================
ii  acpi                                   0.09-1
 displays information on ACPI devices
ii  acpi-support                           0.85
 a collection of useful events for acpi
ii  acpid                                  1.0.4-1ubuntu11
 Utilities for using ACPI power management
ii  adduser                                3.80ubuntu2
 Add and remove users and groups
ii  alacarte                               0.8-0ubuntu12
 easy menu editing
ii  alien                                  8.64
 install non-native packages with dpkg
ii  alsa-base                              1.0.10-4ubuntu4
 ALSA driver configuration files
ii  alsa-utils                             1.0.10-1ubuntu14
 ALSA utilities
...

출력내용의 처음 3줄은 각 패키지 이름 앞에 3개의 열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알려준다. 대부분 ii 로
패키지가 알맞게 설치되었다는 뜻이다.

특정 패키지가 어떤 버전인지 궁금 할 경우엔 -l 옵션에 패키지 이름을 붙인다.

yoda@yoda-desktop:~$ dpkg -l gcc
희망상태=알수없음(u)/설치(i)/지우기(r)/깨끗이(p)/고정(h)
| 상태=설치안됨(n)/설치됨(i)/설정(c)/풀림(u)/설정실패(f)/일부설치(h)
|/ 오류?=(없음)/고정(h)/다시설치필요(r)/둘-다(x) (상태, 오류가 대문자=불량)
||/ 이름         버전         설명
+++-==============-==============-============================================
ii  gcc            4.0.3-1        The GNU C compiler


특정 파일이 어디에 속하는지도 알 수 있다.

yoda@yoda-desktop:~$ dpkg --search /bin/false
coreutils: /bin/false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s 옵션을 써도 됨)

yoda@yoda-desktop:~$ dpkg --status dpkg
Package: dpkg
Essential: yes
Status: install ok installed
Priority: required
Section: base
Installed-Size: 5424
Origin: debian
Maintainer: Scott James Remnant <scott@netsplit.com>
Bugs: debbugs://bugs.debian.org
Architecture: i386
Version: 1.13.11ubuntu6
Replaces: dpkg-doc-ja, dpkg-static, manpages-de (<= 0.4-3)
Pre-Depends: libc6 (>= 2.3.4-1), coreutils (>= 5.93-1)
Suggests: apt
Conflicts: sysvinit (<< 2.82-1), dpkg-iasearch (<< 0.11), dpkg-static, dpkg-dev (<< 1.10)
Conffiles:
 /etc/dpkg/dpkg.cfg a56f60fb9ab2a5cfe8ea3b30ea6fa35c
 /etc/dpkg/origins/debian 731423fa8ba067262f8ef37882d1e742
 /etc/alternatives/README 69c4ba7f08363e998e0f2e244a04f881
 /etc/logrotate.d/dpkg 501f8c90b83c7ea180868ca82e1e82d1
Description: package maintenance system for Debian
 This package contains the low-level commands for handling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packages on your system.
 .
 In order to unpack and build Debian source packages you will need to
 install the developers' package `dpkg-dev' as well as this one

--info 옵션을 사용하면 가지고 있는 아카이브에 대해서 정보를 추력할 수 있다. 또한 -c(--contents)옵션을 사용하면 .deb 아카이브에 있는 파일과 디렉토리 목록을 나열할 수 있다.



dpkg 외에도 데비안과 기타 다른 데비안 기반의 배포판은 apt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apt 는 'Advanced Package Tool'을 뜻하는 것으로, 다양한 패키지의 형식을 처리할 수 있는 아카이브(독립적인) 시스템으로 설계되었다.
아마도 apt 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자동으로 의존성 문제를 해결해 준는 능력일 것이다. 만약 어떤 패키지를 설치하려는데 다른 패키지가 필요하다면 apt 는 스스로 그 필요한 패키지를 다양한 출처(cd -rom, 로컬 미러 사이트, 인터넷등) 에서 찾으려고 시도 할 것이다.

apt 의 가장 유용한 인터페이스는 apt-get 명령이다. apt-get 은 사용 가능한 패키지 목록(페키지 캐시) 을 관리와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고 패키질르 설치하는 데 사용한다. 보통 apt 캐시를 갱신하는데서 부터 시작한다.

yoda@yoda-desktop:~$apt-get update

받기:1 http://kr.archive.ubuntu.com dapper Release.gpg [189B]
받기:2 http://kr.archive.ubuntu.com dapper-updates Release.gpg [189B]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dapper Release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dapper-updates Release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dapper/main Packag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dapper/restricted Packag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dapper/main Sourc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dapper/restricted Sourc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dapper-updates/main Packag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dapper-updates/restricted Packag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dapper-updates/main Sourc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dapper-updates/restricted Sources
받기:3 http://security.ubuntu.com dapper-security Release.gpg [189B]
기존 http://security.ubuntu.com dapper-security Release
기존 http://security.ubuntu.com dapper-security/main Packages
기존 http://security.ubuntu.com dapper-security/restricted Packages
기존 http://security.ubuntu.com dapper-security/main Sources
기존 http://security.ubuntu.com dapper-security/restricted Sources
내려받기 3바이트, 소요시간 2s (1바이트/초)
꾸러미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 완료

출력 내용을 보면 배포판에 갱신 내용이 있으며,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패키지를 업그레이드해야 할 것이라는 사실을 아려준다. 자동으로 하기 위해서는 apt-get 의  upgrade 옵션을 사용한다.

yoda@yoda-desktop:~$ sudo apt-get upgrade
꾸러미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 완료
의존성 트리를 만드는 중입니다... 완료
다음 꾸러미를 업그레이드할 것입니다:
  app-install-data-commercial base-files cupsys cupsys-bsd cupsys-client eog
  file-roller firefox firefox-gnome-support gdm gedit gedit-common gnome-about
  gnome-accessibility-themes gnome-applets gnome-applets-data
  gnome-desktop-data gnome-games gnome-games-data gnome-menus gnome-panel
  gnome-panel-data gnome-screensaver gnome-session gnome-themes gnupg
  gstreamer0.10-alsa gstreamer0.10-gnomevfs gstreamer0.10-plugins-base
  gstreamer0.10-plugins-base-apps gstreamer0.10-x gtk2-engines-clearlooks
  gtk2-engines-crux gtk2-engines-highcontrast gtk2-engines-industrial
  gtk2-engines-lighthouseblue gtk2-engines-mist gtk2-engines-pixbuf
  gtk2-engines-redmond95 gtk2-engines-smooth gtk2-engines-thinice gtkhtml3.8
  imagemagick language-pack-en language-pack-en-base language-pack-gnome-en
  language-pack-gnome-en-base language-pack-gnome-ko
  language-pack-gnome-ko-base language-pack-ko language-pack-ko-base
  language-selector language-selector-common libcupsimage2 libcupsys2
  libeel2-2 libeel2-data libgnome-desktop-2 libgnome-menu2 libgnomeui-0
  libgnomeui-common libgstreamer-plugins-base0.10-0 libgtk2.0-0 libgtk2.0-bin
  libgtk2.0-common libgtkhtml3.8-15 libgtksourceview-common
  libgtksourceview1.0-0 libkrb53 libmagick9 libnautilus-burn3
  libnautilus-extension1 libnspr4 libnss3 libpanel-applet2-0 libpango1.0-0
  libpango1.0-common libtiff4 libtotem-plparser1 libwmf0.2-7
  linux-image-2.6.15-26-386 nautilus nautilus-cd-burner nautilus-data
  python-gmenu totem totem-gstreamer ubuntu-base ubuntu-minimal
  ubuntu-standard yelp zenity
92개 업그레이드, 0개 새로 설치, 0개 지우기 및 0개 업그레이드 안 함.
74.2M바이트 아카이브를 받아야 합니다.
압축을 풀면 1430k바이트의 디스크 공간을 더 사용하게 됩니다.
계속 하시겠습니까 [Y/n]? y
...

만약 업그레이드 하려는 패키지가 의존성 문제에 걸린다면 그것은 업그레이드 하지 않고 대신 hold(잠금) 상태로 바꾼다. apt-get upgrade는 hold 상태인 패키지를 판올림하지 않을 것이다.(이것이 hold(잠금)의 의미이기도 하다.)
만약 이 패키지를 업그레이드 하고 싶다면 apt-get install 명령을 사용한다. apt 는 자동으로 홀드 상태를 해지하고 지정된 패키지와 더불어 의존적인 패키지들까지 다운로드해서 설치하거나 업그레이드 한다.

apt 의 또다른 유용한 기능으로는 저장 공간에 들어 있는 패키지 정보를 찾을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 있다. apt-cache 명령은 설치할 수 있는 패키지에 대한 정보를 찾는데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apt-cache 명령은 단어 또는 완전한 문구 (따옴표를 사용함) 또는 정규 표현식을 사용하여 패키지의 설명에서 키워드를 찾아 해당 패키지를 찾는다. 예를 들어 ogg vorbis 로 인코딩된 음악 파일을 재생 시켜주는 패키지를 찾는다면 다음과 같이 search 옵션을 사용하여 해당 패키지를 찾을 수 있다.

yoda@yoda-desktop:~$ apt-cache search ''ogg vorbis''
juk - music organizer and player for KDE
k3b - A sophisticated KDE CD burning application
kaudiocreator - CD ripper and audio encoder frontend for KDE
libakode-dev - development files for akode
libakode2 - akode plugin for aRts
libmpcdec-dev - Musepack (MPC) format library [development files]
libmpcdec3 - Musepack (MPC) format library
libshout3 - MP3/Ogg Vorbis broadcast streaming library
libshout3-dev - MP3/Ogg Vorbis broadcast streaming library (development)
libspeex-dev - The Speex Speech Codec
libspeex1 - The Speex Speech Codec
libtag1-dev - TagLib Audio Meta-Data Library [development]
libtag1c2a - TagLib Audio Meta-Data Library
libtagc0 - TagLib Audio Meta-Data Library (C bindings)
libtagc0-dev - TagLib Audio Meta-Data Library (C bindings) [development]
libvorbis-dev - The Vorbis General Audio Compression Codec (development files)
libvorbis0a - The Vorbis General Audio Compression Codec
libvorbisenc2 - The Vorbis General Audio Compression Codec
libvorbisfile3 - The Vorbis General Audio Compression Codec
python-pyvorbis - A Python interface to the Ogg Vorbis library
speex-doc - Documentation for speex
vorbis-tools - several Ogg Vorbis tools
vorbisgain - add suggested volume level for .ogg files as .ogg comment
xmms - Versatile X audio player

여기서 관심 대상의 패키지에 apt-cache 의 show  옵션을 사용하면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yoda@yoda-desktop:~$ apt-cache show xmms
Package: xmms
Priority: optional
Section: sound
Installed-Size: 7256
Maintainer: Josip Rodin <joy-packages@debian.org>
Architecture: i386
Version: 1.2.10+cvs20050809-4ubuntu5
Replaces: x11ampg, x11amp, xmms-vorbis, alsa-xmms
Provides: mp3-decoder, x11ampg, x11amp, xmms-vorbis, alsa-xmms
Depends: libc6 (>= 2.3.4-1), libglib1.2 (>= 1.2.0), libgtk1.2 (>= 1.2.10-4), libice6, libsm6, libssl0.9.8 (>= 0.9.8a-1), libx11-6, libxext6, libxi6, libxxf86vm1Recommends: libasound2 (>> 1.0.10), libaudiofile0 (>= 0.2.3-4), libesd-alsa0 (>= 0.2.35) | libesd0 (>= 0.2.35), libgl1-mesa | libgl1, libmikmod2 (>= 3.1.10), libogg0 (>= 1.1.3), libvorbis0a (>= 1.1.2), libvorbisfile3 (>= 1.1.2), zlib1g (>= 1:1.2.1), unzip
Conflicts: x11ampg, x11amp, xmms-vorbis, alsa-xmms
Filename: pool/main/x/xmms/xmms_1.2.10+cvs20050809-4ubuntu5_i386.deb
Size: 1053870
MD5sum: 41129fd7158e7992bf611becc7dafd1f
Description: Versatile X audio player
 X MultiMedia System is a player for various audio formats,
 with a customizable interface based on X/GTK+.
 .
 It's able to read and play:
  * Audio MPEG layer 1, 2, and 3 (with mpg123 plug-in),
  * Ogg Vorbis files (with the Ogg Vorbis plug-in),
  * CD Audio (with CDAudio plug-in), with CDDB support,
  * WAV, RAW, AU (with internal wav plug-in and MikMod plug-in),
  * MOD, XM, S3M, and other module formats (with MikMod plug-in),
  * .cin files, id Software.
 It has eSound, OSS, and disk writer support for outputting sound.
 .
 It looks almost the same as famous Winamp, and includes those neat
 features like general purpose, visualization and effect plug-ins,
 several of which come bundled, then spectrum analyzer, oscilloscope,
 skins support, and of course, a playlist window.
Bugs: mailto:ubuntu-users@lists.ubuntu.com
Origin: Ubuntu



더 자세한 내용은 맨패이지나 하우투 등을 찾아보면 된다.

아래는 관련 내용 링크

http://debianusers.org/DebianWiki/wiki.php/APT%20&%20Dpkg%20%C8%C4%B5%FC%20%BA%B8%B1%E2

출처 : http://blog.naver.com/khsrdc/110007559215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파티션 나누기  (0) 2009.05.08
Cron  (0) 2008.11.24
USB 휴대용 저장 장치 마운트  (0) 2008.09.08
linux make law device(리눅스 raw device 생성)  (0) 2008.09.04
apt-get 명령어  (0) 2008.01.08
1. 패키지 캐쉬 갱신 및 자동 업그레이드

 # apt-get update ; apt-get upgrade


2. 원하는 패키지 찾기

# apt-cache  serach 파일명


3. 패키지 삭제
# apt-get remove 패키지명
또는 # dpkg -P 패키지명


4.CD-ROM 목록 추가

# apt-cdrom add


5. 개별 패키지 설치

# apt-get install 파일명


6. 원하는 패키지 찾은 다음 정보 출력

# apt-cache show 파일명


7. 의존성 검사 수행후 패키지 업그레이드

# apt-get dist-upgrade


8. dselect에서 선택한 패키지의 설치 및 삭제


# apt-get dselect-upgrade


9. 설치된 패키지를 볼때

# dpkg -l



10. apt-get install 명령어로 받은 deb 파일의 저장 위치


/var/cache/apt/archive/

위 폴더에 .deb 패키지파일로 저장됨.

출처 : http://blog.naver.com/hjt1761/60046124440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파티션 나누기  (0) 2009.05.08
Cron  (0) 2008.11.24
USB 휴대용 저장 장치 마운트  (0) 2008.09.08
linux make law device(리눅스 raw device 생성)  (0) 2008.09.04
dpkg와 apt 사용하기  (0) 2008.01.08


오라클 데이타베이스 중에서 그나마 XE 버전이 제일 설치가 쉬운 것 같다. (다른 버전은 시험할 엄두도 못 내겠다..-_-+)

 그나마 제일 쉬운 것 설치하는 데도 진땀 다 뺐다.

원문 : http://www.oracle.com/technology/tech/linux/install/xe-on-kubuntu.html


1. 먼저 apt-get 저장소를 연다.

$ sudo gedit /etc/apt/sources.list

2. sources.list에 다음을 추가한다.

deb http://oss.oracle.com/debian unstable main non-free

3. 인증키를 얻고 오라클 XE를 설치한다.

$ wget http://oss.oracle.com/el4/RPM-GPG-KEY-oracle  -O- | sudo apt-key add -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oracle-xe

여기까진 쉽다. 만약에 설치 중에 스왑 파티션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오라클 XE는 최소 1G이상의 스왑 파티션을 요구한다. 나는 이것 때문에 포맷을 두 번이나 하고 우분투를 설치했다. -_-;;
 
  근데 원문 6번 글을 보면 스왑 파티션을 설정하는 방법이 나온다. 직접 해보지는 않았지만 원문 작성자도 별로 추천하지 않는단다. ㅡ.,ㅡ 그냥 포맷하고 반드시 수동으로 해서 스왑 파티션을 잡아준다. 1G라고 해서 1024이런 식으로 했다가는 또 다시 포맷해야하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 적당히 1200정도로 잡아줘야 이상 없다. 이것 때문에 두 번이나 다시 깔았다. ㅠ.ㅠ

4. 아무튼 스왑 파티션에 이상이 없으면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이 실행하여 root 로 로그인 한다.

$ su -

아마 패스워드를 입력하라고 할 것이다. 우분투를 처음 설치한 상황에서는 root의 비밀번호가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 설정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 sudo bash
# passwd

또는

$ sudo passwd

이 명령으로 root 계정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root로 로그인한다. root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고 그냥 하려면 아래와 같이 입력하고 그 상태에서 작업한다.

$ sudo bash

또는

$ sudo -i

5. 이제 root 권한 상태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한다.

/etc/init.d/oracle-xe configure

그럼 아래와 같은 설정 화면이 나올 것이다.

Oracle Database 10g Express Edition Configuration
-------------------------------------------------
Specify the HTTP port that will be used for Oracle Application Express [8080]: Enter
Specify a port that will be used for the database listener [1521]: Enter

Specify a password to be used for database accounts. Note that the same
password will be used for SYS and SYSTEM. Oracle recommends the use of
different passwords for each database account. This can be done after
initial configuration: 비밀번호 입력

Confirm the password: 비밀번호 입력

Do you want Oracle Database 10g Express Edition to be started on boot (y/n) [y]: y

Starting Oracle Net Listener...Done
Configuring Database...Done
Starting Oracle Database 10g Express Edition Instance...Done    Installation Completed Successfully.
To access the Database Home Page go to "http://127.0.0.1:8080/apex"

6. 이제 설정이 끝났다. http://127.0.0.1:8080/apex 로 이동해서 Username은 "system", Password는 위에서 입력한 비밀번호로 로그인한다.

출처 : http://zodiac12k.egloos.com/954275

'LinuX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7.10 사용자 메뉴얼  (0) 2008.01.10
우분투(Ubuntu): sudo su  (0) 2008.01.08

+ Recent posts